1930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0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는 1928년 총선 이후 헤르만 뮐러 총리 내각이 붕괴된 후, 하인리히 브뤼닝이 총리로 임명되어 대공황에 대응하기 위해 긴축 정책을 추진하는 가운데 치러졌다. 선거는 브뤼닝의 재정 개혁안이 국회에서 부결되고 대통령 긴급령 발동으로 국회가 해산된 후 실시되었다. 선거 결과, 나치당은 12석에서 107석으로 의석을 대폭 늘리며 제2당으로 부상했고, 사회민주당은 1당을 유지했으나 의석수가 감소했다. 공산당도 의석을 늘렸으며, 국가인민당과 인민당은 의석을 잃었다. 이 선거는 세계 대공황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과 좌우 양극단의 정당 약진을 보여주었으며, 나치당의 부상과 칙령 통치의 시작을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0년 선거 - 제1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29년 세계 대공황의 여파 속에서 하마구치 오사치 내각의 경제 정책에 대한 평가가 쟁점이 된 제1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1930년 입헌민정당이 과반수를 유지했으나 입헌정우회도 선전하며 일본 정치의 향방에 영향을 미쳤다. - 1930년 선거 - 1930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1930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대공황으로 인한 공화당에 대한 불만 속에서 민주당이 약진했지만, 공화당이 상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며 여러 주에서 상원의원 교체가 이루어져 뉴딜 정책 추진에 영향을 미쳤다.
1930년 독일 국가의회 선거 | |
---|---|
선거 개요 | |
국가 | 바이마르 공화국 |
선거 유형 | 의회 선거 |
이전 선거 | 1928년 독일 연방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928년 |
다음 선거 | 1932년 7월 독일 연방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932년 7월 |
선출 의석수 | 577석 |
과반 의석수 | 289석 |
등록 유권자 수 | 42,982,912명 (4.3% 증가) |
투표율 | 82.0% (6.4%p 증가) |
선거 날짜 | 1930년 9월 14일 |
선거 결과 | |
정당 | 독일 사회민주당 |
지도자 | 오토 벨스, 아르투어 크리스피엔 |
이전 선거 결과 | 29.8%, 153석 |
의석수 | 143석 |
의석 변화 | 10석 |
득표수 | 8,575,244표 |
득표율 | 24.5% |
득표율 변화 | 5.3%p |
정당 | 나치당 |
지도자 | 아돌프 히틀러 |
이전 선거 결과 | 2.6%, 12석 |
의석수 | 107석 |
의석 변화 | 95석 |
득표수 | 6,379,672표 |
득표율 | 18.3% |
득표율 변화 | 15.7%p |
정당 | 독일 공산당 |
지도자 | 에른스트 텔만 |
이전 선거 결과 | 10.6%, 54석 |
의석수 | 77석 |
의석 변화 | 23석 |
득표수 | 4,590,160표 |
득표율 | 13.1% |
득표율 변화 | 2.5%p |
정당 | 중앙당 |
지도자 | 루트비히 카스 |
이전 선거 결과 | 12.1%, 61석 |
의석수 | 68석 |
의석 변화 | 7석 |
득표수 | 4,127,000표 |
득표율 | 11.8% |
득표율 변화 | 0.3%p |
정당 | 독일 국가인민당 |
지도자 | 알프레트 후겐베르크 |
이전 선거 결과 | 14.2%, 73석 |
의석수 | 41석 |
의석 변화 | 32석 |
득표수 | 2,457,686표 |
득표율 | 7.0% |
득표율 변화 | 7.2%p |
정당 | 독일 인민당 |
지도자 | 에른스트 숄츠 |
이전 선거 결과 | 8.7%, 45석 |
의석수 | 30석 |
의석 변화 | 15석 |
득표수 | 1,577,365표 |
득표율 | 4.5% |
득표율 변화 | 4.2%p |
지도 | |
![]() | |
![]() | |
![]() | |
정부 | |
선거 이전 | 제1차 브뤼닝 내각 |
선거 이전 정당 | 독일 중앙당–독일 민주당–독일 인민당–경제당–바이에른 인민당–보수 인민당 |
선거 이후 | 제1차 브뤼닝 내각 |
선거 이후 정당 | 독일 중앙당–독일 민주당–독일 인민당–경제당–바이에른 인민당–보수 인민당 |
2. 배경
1928년 독일 연방 선거 이후, 사회민주당 헤르만 뮐러 총리 아래 대연정이 구성되었다. 그러나 이 연정은 1930년 3월 27일에 붕괴되었다. 힌덴부르크 대통령은 중앙당 정치인이자 학자인 하인리히 브뤼닝을 총리로 임명하여 소수 정부를 구성했다.
1930년 독일은 공식적으로 다당제 의원내각제 공화국이었으며,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1925–1934)이 이끌었다. 그러나 1930년 3월부터 힌덴부르크는 의회의 과반수 지지를 받지 못하고 비상 칙령으로 통치하는 정부만 임명하여, 민주적으로 선출된 국회를 무시했다.
1929년부터 시작된 세계 대공황의 여파로 독일 경제는 큰 타격을 입었고, 이는 사회적 불안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각 정당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선거 운동을 전개했다.
1930년 9월 14일에 실시된 선거는 1919년 선거 이후 최고 투표율인 81.95%를 기록했다. 나치당은 12석에서 107석으로 의석을 대폭 늘리며 사회민주당에 이어 제2당으로 급부상했다.[1] 사회민주당은 143석으로 제1당을 유지했지만, 이전 선거보다 10석이 감소했다. 공산당은 77석을 확보하며 23석을 늘렸다. 중앙당은 68석으로 7석을 늘렸지만, 순위는 4위로 하락했다.[2]
1930년 선거 결과, 사회민주당과 독일 공산당(KPD)은 국회 의석의 거의 40%를 차지하게 되었다.[3] 하인리히 브뤼닝은 국회에서 과반수를 확보하지 못하고 칙령 통치를 계속했는데,[4] 이는 권위주의 정부 형태로 가는 길을 열었다.[5] 사회민주당은 나치와 공산당을 억제하기 위해 브뤼닝에게 "관용" 노선을 취했다.
새 정부는 대공황으로 인한 경제 위기에 직면했다. 브뤼닝은 제1차 세계 대전 배상금과 외채 부담에서 독일 경제를 해방시키기 위해 긴축 신용 정책과 모든 임금 및 급여 인상 삭감(내부 평가절하)과 같은 непопуляр한 정책을 추진했다. 국회는 브뤼닝의 조치를 거부했고, 브뤼닝은 비상 권한을 사용하여 이를 통과시키려 했다. 그러나 국회는 사회민주당, 공산당, 독일 국가 인민당, 나치의 256표로 비상 칙령을 거부했다. 결국 브뤼닝은 힌덴부르크에게 국회 해산을 요청했고, 힌덴부르크는 1930년 7월 18일에 국회를 해산했다. 새로운 선거는 1930년 9월 14일로 예정되었다.
하인리히 브뤼닝 총리가 1930년 7월 16일에 제출한 인두세를 포함한 재정 개혁안은 독일 사회 민주당(SPD), 독일 국가 인민당(DNVP), 독일 공산당(KPD), 국민 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NSDAP) 등 광범위한 정당의 반대에 부딪혀 국회에서 부결되었다. 브뤼닝은 파울 폰 힌덴부르크 대통령에게 대통령 긴급령을 발동하여 국회를 무시하고 해당 법안을 강제 공포하여, 국회에 기반하지 않는 "대통령 내각"으로 전환했다. 이에 대항하여 사민당은 7월 18일에 긴급령 폐지 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하여 가결시켰지만, 브뤼닝은 같은 날 대통령 국회 해산 명령에 의해 국회를 해산했다.
3. 선거 제도
선거법에 따라 6만 표당 국회의원 1석이 배정되었다. 21세 이상의 모든 시민은 비례대표제를 통해 투표할 수 있었다. 새로운 의회는 세금, 무역, 국방 등과 관련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4년마다 선출되었다. 대통령은 7년마다 직접 선출되었으며, 군 통제, 수상 지명, 법률 거부권, 제48조 발동 등 상당한 권한을 가졌다.
4. 선거 운동
루드비히 카스가 이끌던 중앙당은 점차 우경화되는 모습을 보였다.[1]
나치당은 1928년 총선 이후 치러진 지방 선거에서 득표율을 높여가며 세력을 확장했다.[2] 1930년 봄, 아돌프 히틀러는 요제프 괴벨스를 당 선전 책임자로 임명하여 본격적인 선거 운동을 준비했다.[3] 1928년 10만여 명이었던 나치당원은 1930년 9월에는 29만여 명으로 크게 늘었고, 연말까지 10만 명이 추가로 입당했다. 나치당은 49개의 신문을 소유했으며, 그중 6개는 일간지였다.[4]
사회민주당(SPD)은 "부르주아 블록"과 나치를 적으로 규정하고, 공산당(KPD)과 함께 1930년 8월 1일 베를린에서 "다시는 전쟁을 겪지 않겠다"라는 구호 아래 반전 집회를 열었다. 이 집회에는 약 3만 명의 사회민주당 지지자들과 1만 5천 명의 공산당 지지자들이 참여했다. 8월 23일에는 공산당원들이 분슬라우에서 열린 나치 행사를 공격하여 3명이 사망하고 2명이 중상을 입는 사건이 발생했다. 공산당의 선거 운동은 9월 12일 베를린 스포츠궁전에서 열린 집회로 절정에 달했다.[5]
국가인민당에서는 긴급령 폐지 동의 투표를 계기로 당내 분열이 심화되었다. 쿠노 폰 베스터프 백작과 Gottfried Treviranusde 등 친정부파 의원들이 당수 알프레트 후겐베르크에 반기를 들고 반대표를 던졌고, 결국 의원 절반가량이 탈당하여 1930년 7월 23일 보수인민당 (독일)|label=보수인민당|Konservative Volksparteide(KVP)를 창당했다.[6] 이들은 브뤼닝 총리의 지원을 받으며 미래의 여당으로 기대를 모았다.[7] 또한, 국가인민당 지지층 일부는 기독교 국가 농민 및 농촌 주민당(CNBL)이나 기독교 사회 인민 봉사(CSVD) 등 보수 소정당으로 이탈했다.[8]
자유주의 및 중도 세력의 쇠퇴는 더욱 심각했다. 독일 민주당(DDP) 당수 Erich Koch-Weserde는 독일 인민당(DVP) 당수 Ernst Scholz (1874-1932)|label=에른스트 숄츠|Ernst Scholz (Politiker, 1874)de와 당 통합 협상을 벌였으나 실패했다. 그러나 민주당은 청년 독일 기사단|Jungdeutscher Ordende과의 합병에 성공하여 독일 국가당(DStP)으로 당명을 변경하고 선거에 참여했다.[9]
나치당 내부에서는 돌격대(SA)의 내분으로 혼란이 발생했다. 8월 1일, 돌격대 총사령관 프란츠 페퍼 폰 잘로몬은 돌격대원을 국회의원 후보 명단에 포함시켜 달라고 요구했으나 히틀러가 거절하여 사임했다. 8월 27일에는 베를린 돌격대 지도자 발터 슈텐네스 등이 베를린 대관구 지도자 요제프 괴벨스에게 반란을 일으켰다. 괴벨스는 친위대를 투입하여 진압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9월 1일, 히틀러는 직접 베를린을 방문하여 슈텐네스와 면담하고, 선거 전에 소동을 중단하도록 설득하여 혼란을 수습했다.
이러한 혼란에도 불구하고 나치당은 유리한 조건을 바탕으로 선거 운동을 전개했다. 1929년 이후 당원이 급증하면서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당원들의 헌신적인 지원으로 당 재정이 확대되었다. 또한, 나치당은 중앙 집권화된 선전 전략을 통해 다른 정당들보다 효율적인 선거 운동을 펼쳤다. 요제프 괴벨스는 전국적인 선거 운동을 지휘하며 다른 정당보다 훨씬 많은 수의 집회를 조직했다. 야외 연주회, 돌격대의 행진, 공동 참배, 서신 발송, 팜플렛 배포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대중의 관심을 끌었다. 또한, 당시에는 생소했던 정치 선전 영화를 적극 활용하여 미국의 20세기 폭스사의 기술 지원을 받아 야외에서도 음향 영화를 상영할 수 있도록 했다. 나치당은 영 안 반대, 특수 이익 비판 등 전국민적 공감을 얻기 쉬운 문제를 집중적으로 다루었고, 반유대주의 선전은 "유대인의 경제 지배"를 비판하는 수준으로 제한했다.
세계 대공황으로 인한 불황은 "자본주의의 실패"라는 인식을 확산시켰고, 이러한 반자본주의 정서는 국가주의 및 반유대주의와 결합되기 쉬웠다. 이는 나치당의 "민족 공동체" 슬로건에 대한 지지를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젊은 층은 나치당이나 공산당과 같은 급진적인 정당을 지지하는 경향이 강했고, 사회민주당과 부르주아 정당들은 고령화 현상을 겪고 있었다.
농촌 지역에서는 급진적인 반대 세력이 형성되었고, 국가인민당의 농업 기반 유권자층이 해체되면서 나치당이 농업 조직으로 진출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5. 선거 결과
국가인민당은 41석으로 32석이 감소하며 5위로 하락했다. 당내 분열로 인해 온건파 유권자들이 기독교 사회 인민 봉사, 보수 인민당, 기독교-국민 농민당 등으로 이탈한 결과였다.[3] 인민당은 30석으로 15석이 감소했다. 그 외 기타 정당들은 총 86석을 확보했다.
세계 대공황으로 인한 불황 속에서 국민들은 급격한 변화를 요구했고, 이는 좌우 양극단의 정당들이 성장하는 배경이 되었다. 특히 나치당은 베르사유 조약과 영안 등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며 공산당보다 더 큰 지지를 얻었다.[4]정당 득표수 득표율(%) 의석수 의석수 증감 독일 사회민주당 (SPD) 8,575,244 24.53 143 -10 나치당 (NSDAP) 6,379,672 18.25 107 +95 독일 공산당 (KPD) 4,590,160 13.13 77 +23 중앙당 4,127,000 11.81 68 +7 독일 국가인민당 (DNVP) 2,457,686 7.03 41 -32 독일 인민당 (DVP) 1,577,365 4.51 30 -15 독일 국가당 (DStP) 1,322,034 3.78 20 -5 독일 중산층 제국당 1,361,762 3.90 23 0 기독교-국민 농민당 1,108,043 3.17 19 +10 바이에른 인민당 (BVP) 1,058,637 3.03 19 +2 기독교 사회 인민 봉사 868,269 2.48 14 신규 독일 농민당 339,434 0.97 6 -2 보수 인민당 290,579 0.83 4 신규 농업 연맹 193,926 0.55 3 0 독일-하노버당 (DHP) 144,286 0.41 3 -1 기타 562,374 1.60 0 0 기권/무효 268,028 – – – 합계 35,224,499 100 577 +86 등록유권자/투표율 42,982,912 82.0 – – 출처: [http://www.gonschior.de/weimar/Deutschland/RT5.html Gonschior.de]
6. 선거 이후
1930년 10월 14일 국회가 소집되자 국회의사당 앞에서 돌격대원들이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출입 금지 구역에 들어가 경찰에 의해 쫓겨나면서 거리로 쏟아져 나와 유대인 상가를 습격했다. 국회 내에서도 나치당 의원들은 당시 프로이센에서 금지되었던 돌격대 제복을 착용하고 출석하거나, 불신임안을 제출하거나, 의사진행을 방해하거나, 야유를 퍼붓는 등 행동을 일삼았다. 국가인민당과 공산당을 제외한 의회주의 정당들은 의회 정치를 지키기 위해 결속했고, 브뤼닝의 권세는 일시적으로 강화되었다. 사민당은 "경제 및 재정 안정을 위한" 대통령 긴급령을 사후 승인했고, 1931년 예산안에도 찬성했다.
1932년 대통령 선거 이후, 힌덴부르크는 칙령 서명을 거부했고 브뤼닝은 사임했다.[6] 프란츠 폰 파펜 내각이 구성되었으나, 국회에서 과반수를 형성하지 못하고 1932년 7월 총선이 다시 실시되었다.[8]
7. 주요 당선 인물
참조
[1]
서적
The Fateful Alliance: German Conservatives and Nazis in 1933
Oxford: Berghahn Books
[2]
서적
Social Change and Political Development in Weimar Germany
Croom Helm
[3]
뉴스
How the left enabled fascism
https://www.newstate[...]
[4]
서적
Germany tried democracy; a political history of the Reich from 1918 to 1933
http://archive.org/d[...]
New York, W.W. Norton
1965
[5]
서적
Germany tried democracy; a political history of the Reich from 1918 to 1933
http://archive.org/d[...]
New York, W.W. Norton
1965
[6]
서적
Die Erinnerungen
[7]
뉴스
GERMANY: Hitler Into Chancellor
https://content.time[...]
1933-02-06
[8]
서적
Hitler's thirty days to power
http://archive.org/d[...]
Addison-Wesley
1996
[9]
문서
"#アイクIII|アイクIII巻 1986, p.34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